본문 바로가기
주식.경제.사회

해외주식 배당금과 세금, 쉽게 정리해드립니다!

by MUNGJ 2025. 3. 10.
728x90
반응형

사진: Unsplash 의 Brooke Cagle

해외주식을 투자하는 많은 분들이 배당금을 받을 때, 세금 문제로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해외주식 배당금에는 어떤 세금이 붙고, 어떻게 신고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📌 해외주식 배당금이란?

해외주식 배당금은 해외 기업이 주주들에게 이익을 나눠주는 것입니다. 보유한 주식 수량에 따라 일정 금액이 지급되며, 이 금액은 해당 기업의 실적과 배당 정책에 따라 달라집니다.

💰 해외주식 배당금 세금, 어떻게 부과될까?

해외주식 배당금에는 두 가지 종류의 세금이 부과됩니다.

1️⃣ 외국 원천징수세 (외국에서 먼저 떼는 세금)

배당금을 지급하는 국가에서 먼저 원천징수를 합니다. 예를 들어, 미국 주식의 경우 **배당금의 15%**가 원천징수됩니다. 만약 배당금이 100달러라면, 15달러는 미국 정부에서 세금으로 가져가고, 투자자는 85달러를 받게 됩니다.

국가별 원천징수세율은 다를 수 있으니, 투자 전에 꼭 확인해 보세요.

국가원천징수세율

미국 15%
영국 0% (일반 주식 기준)
홍콩 0%
일본 15.315%
중국 10%

2️⃣ 국내 배당소득세 (한국에서 내는 세금)

해외주식 배당금은 국내에서도 세금을 내야 합니다.

  • 배당금에 대해 **배당소득세 15.4% (소득세 14% + 지방세 1.4%)**가 부과됩니다.
  • 이는 해외에서 이미 납부한 원천징수세와 별개로 부과됩니다.

즉, 미국 주식을 통해 100달러의 배당금을 받았다면:

  • 미국에서 15달러(15%)를 원천징수
  • 한국에서 13.09달러(85달러 × 15.4%)를 추가 납부
  • 최종적으로 투자자가 받는 금액은 71.91달러가 됩니다.

📝 세금 신고, 어떻게 해야 할까?

해외주식 배당소득은 연말정산 대상이 아니므로 본인이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.

  1. 연간 배당소득이 2,000만 원 이하라면,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아니므로 종합소득세 신고 시 기타소득으로 합산됩니다.
  2. 연간 배당소득이 2,000만 원 초과할 경우,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되어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세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
💡 외국납부세액공제 활용하기 이미 해외에서 세금을 납부했다면, 이를 국내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 즉, 미국에서 15%를 냈다면 한국에서 내야 할 15.4% 중 일부를 공제받아 중복 과세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.

공제 신청은 종합소득세 신고 시 외국납부세액공제 항목을 작성하면 됩니다.

사진: Unsplash 의 Kelly Sikkema

✅ 해외주식 배당 투자 시 유의할 점

✔ 배당세율을 고려해 국가별 투자 전략을 세우기 ✔ 연간 배당소득 2,000만 원을 넘지 않도록 관리하기 (종합소득세 부담 최소화) ✔ 배당이 높은 종목을 선택할 때 세후 수익률을 계산해보기 ✔ 연말에 종합소득세 신고 시 외국납부세액공제를 꼭 챙기기

해외주식 배당금 투자는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지만, 세금에 대한 이해가 필수입니다. 미리 세금을 고려하여 투자 전략을 세우면 더욱 효과적인 자산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! 😊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