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주식.경제.사회

주식 용어 상한가, 하한가, 호가, 매수, 매도 한 번에 쉽게 정리!

by MUNGJ 2025. 4. 3.
728x90
반응형

사진:  Unsplash 의 Firmbee.com

주식을 막 시작하셨나요?
처음 주식 앱을 켰을 때, 상한가, 하한가, 호가, 매수, 매도 같은 단어들이 너무 어렵게 느껴지셨을 거예요.
하지만 이 다섯 가지는 주식 투자에서 꼭 알아야 하는 기본 용어이자, 이해하면 매매의 흐름이 보이기 시작하는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주식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 다섯 가지 용어를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.
티스토리 블로그에 저장해두고 언제든 참고하세요!


1. 상한가란?

– 주가가 하루 동안 오를 수 있는 최대치

상한가하루에 오를 수 있는 주가의 한계선을 의미해요.
우리나라 주식 시장에서는 한 종목이 전날 종가 대비 최대 30%까지 상승할 수 있어요. 그 이상은 아무리 사고 싶어도 오를 수 없습니다.

✅ 예시로 이해해볼게요:

  • 어떤 주식의 전날 종가가 10,000원이었어요.
  • 그럼 오늘 상한가는 10,000원 + 30% = 13,000원이 됩니다.
  • 시장에서 인기가 많아 매수 주문이 몰리면 13,000원에 고정되며 거래가 끊기고, 호가창은 매수만 가득한 상태가 되죠.

✅ 상한가 특징:

  • 수요가 급증한 경우 발생 (호재 뉴스, 급등 테마주 등)
  • 상한가 종목은 주식 앱에서 ‘급등’ 섹션에 자주 등장
  • 거래량이 터지면서도 매도 물량이 없는 경우, 주가가 상한가로 잠김

2. 하한가란?

– 주가가 하루 동안 내릴 수 있는 최대치

하한가는 상한가의 반대 개념입니다.
전날 종가보다 최대 30%까지 하락하면 그 이상은 내려가지 않아요.

✅ 예시:

  • 전날 종가가 10,000원이던 주식이 오늘 7,000원까지 하락했다면, 하한가에 도달한 것.
  • 투자자들이 겁을 먹고 매도만 내놓지만, 사려는 사람이 없어 거래가 거의 없음
  • ‘하한가에 물렸다’는 말은 여기서 유래해요.

✅ 하한가 특징:

  • 악재 뉴스, 실적 부진, 시장 전체 하락 등에 따라 발생
  • 주가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투자자들이 손절하기 어려움
  • 하한가에 도달하면 매도는 가능하지만 매수는 잘 안 들어옴

3. 호가란?

–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 제시하는 ‘가격표’

호가는 주식을 거래할 때, 사고 싶은 가격 또는 팔고 싶은 가격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해요.
주식 앱에서 보이는 ‘호가창’이 바로 이 호가의 모음이죠.

✅ 호가창에서 보는 숫자들은 다음과 같아요:

  • 매수 호가: 이 가격에 사겠다는 주문
  • 매도 호가: 이 가격에 팔겠다는 주문
  • 거래는 매수와 매도의 가격이 맞아떨어질 때 체결돼요.

✅ 예시:

  • A 주식의 현재가는 10,000원
  • 어떤 사람은 “9,900원에 사고 싶다”고 입력 → 매수 호가
  • 다른 사람은 “10,100원에 팔고 싶다”고 입력 → 매도 호가

✅ 호가의 특징:

  • 실시간으로 변함 (초당 단위)
  • 투자심리와 수요·공급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정보
  • 급등주나 급락주일수록 호가 간격이 벌어지기도 함

4. 매수란?

– 주식을 ‘사는’ 행위

매수는 내가 어떤 주식을 사고 싶을 때 내는 주문입니다.
쉽게 말해, “이 주식 마음에 들어, 사고 싶어!”라고 말하는 행동이죠.

✅ 매수의 방식:

  • 시장가 매수: 현재 팔고 있는 가격 중 가장 싼 가격에 즉시 체결
  • 지정가 매수: 내가 원하는 가격에 도달했을 때만 체결

✅ 초보자 팁:

  • 지정가 매수는 손해를 줄일 수 있지만, 체결이 안 될 수 있음
  • 시장가 매수는 빠르게 살 수 있지만, 생각보다 비싸게 살 수 있음

5. 매도란?

– 주식을 ‘파는’ 행위

매도는 내가 가지고 있는 주식을 팔고 싶을 때 내는 주문이에요.
“이제 수익 봤으니 팔고 나가자” 또는 “손해지만 더 떨어지기 전에 손절하자”는 판단에 따라 매도를 하게 됩니다.

✅ 매도의 방식:

  • 시장가 매도: 현재 사고자 하는 사람 중 가장 비싼 가격에 즉시 팔기
  • 지정가 매도: 내가 원하는 가격에 도달했을 때만 팔기

✅ 매도 타이밍 팁:

  • 수익을 지킬 때도, 손절할 때도 매도 전략은 매우 중요
  •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, 계획적으로 매도 시점을 설정하는 습관이 필요

정리: 주식 기초 용어 다섯 가지 한눈에 보기

용어의미초보자 해석
상한가 하루 최대 상승폭 (30%) 너무 인기가 많아서 더 이상 못 오름
하한가 하루 최대 하락폭 (30%) 투자자들이 다 팔고 싶어서 더 이상 못 떨어짐
호가 사고팔고 싶은 가격 표시 주식 앱에서 보이는 ‘가격표’
매수 주식을 사는 것 사고 싶어서 클릭!
매도 주식을 파는 것 이제 팔고 나가자!

마무리: 주식 용어는 알면 알수록 쉽다!

처음에는 어려웠던 상한가, 하한가, 호가, 매수, 매도 같은 단어들도
이렇게 예시와 함께 풀어서 이해하면 쉽게 머릿속에 들어오죠?

주식 투자를 할수록 기초 용어의 중요성은 더 커져요.
기본이 탄탄해야 시장 흐름을 빠르게 읽을 수 있고,
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, 위기에도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