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식을 막 시작하셨나요?
처음 주식 앱을 켰을 때, 상한가, 하한가, 호가, 매수, 매도 같은 단어들이 너무 어렵게 느껴지셨을 거예요.
하지만 이 다섯 가지는 주식 투자에서 꼭 알아야 하는 기본 용어이자, 이해하면 매매의 흐름이 보이기 시작하는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주식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 다섯 가지 용어를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.
티스토리 블로그에 저장해두고 언제든 참고하세요!
1. 상한가란?
– 주가가 하루 동안 오를 수 있는 최대치
상한가는 하루에 오를 수 있는 주가의 한계선을 의미해요.
우리나라 주식 시장에서는 한 종목이 전날 종가 대비 최대 30%까지 상승할 수 있어요. 그 이상은 아무리 사고 싶어도 오를 수 없습니다.
✅ 예시로 이해해볼게요:
- 어떤 주식의 전날 종가가 10,000원이었어요.
- 그럼 오늘 상한가는 10,000원 + 30% = 13,000원이 됩니다.
- 시장에서 인기가 많아 매수 주문이 몰리면 13,000원에 고정되며 거래가 끊기고, 호가창은 매수만 가득한 상태가 되죠.
✅ 상한가 특징:
- 수요가 급증한 경우 발생 (호재 뉴스, 급등 테마주 등)
- 상한가 종목은 주식 앱에서 ‘급등’ 섹션에 자주 등장
- 거래량이 터지면서도 매도 물량이 없는 경우, 주가가 상한가로 잠김
2. 하한가란?
– 주가가 하루 동안 내릴 수 있는 최대치
하한가는 상한가의 반대 개념입니다.
전날 종가보다 최대 30%까지 하락하면 그 이상은 내려가지 않아요.
✅ 예시:
- 전날 종가가 10,000원이던 주식이 오늘 7,000원까지 하락했다면, 하한가에 도달한 것.
- 투자자들이 겁을 먹고 매도만 내놓지만, 사려는 사람이 없어 거래가 거의 없음
- ‘하한가에 물렸다’는 말은 여기서 유래해요.
✅ 하한가 특징:
- 악재 뉴스, 실적 부진, 시장 전체 하락 등에 따라 발생
- 주가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투자자들이 손절하기 어려움
- 하한가에 도달하면 매도는 가능하지만 매수는 잘 안 들어옴
3. 호가란?
– 주식을 사고팔기 위해 제시하는 ‘가격표’
호가는 주식을 거래할 때, 사고 싶은 가격 또는 팔고 싶은 가격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해요.
주식 앱에서 보이는 ‘호가창’이 바로 이 호가의 모음이죠.
✅ 호가창에서 보는 숫자들은 다음과 같아요:
- 매수 호가: 이 가격에 사겠다는 주문
- 매도 호가: 이 가격에 팔겠다는 주문
- 거래는 매수와 매도의 가격이 맞아떨어질 때 체결돼요.
✅ 예시:
- A 주식의 현재가는 10,000원
- 어떤 사람은 “9,900원에 사고 싶다”고 입력 → 매수 호가
- 다른 사람은 “10,100원에 팔고 싶다”고 입력 → 매도 호가
✅ 호가의 특징:
- 실시간으로 변함 (초당 단위)
- 투자심리와 수요·공급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정보
- 급등주나 급락주일수록 호가 간격이 벌어지기도 함
4. 매수란?
– 주식을 ‘사는’ 행위
매수는 내가 어떤 주식을 사고 싶을 때 내는 주문입니다.
쉽게 말해, “이 주식 마음에 들어, 사고 싶어!”라고 말하는 행동이죠.
✅ 매수의 방식:
- 시장가 매수: 현재 팔고 있는 가격 중 가장 싼 가격에 즉시 체결
- 지정가 매수: 내가 원하는 가격에 도달했을 때만 체결
✅ 초보자 팁:
- 지정가 매수는 손해를 줄일 수 있지만, 체결이 안 될 수 있음
- 시장가 매수는 빠르게 살 수 있지만, 생각보다 비싸게 살 수 있음
5. 매도란?
– 주식을 ‘파는’ 행위
매도는 내가 가지고 있는 주식을 팔고 싶을 때 내는 주문이에요.
“이제 수익 봤으니 팔고 나가자” 또는 “손해지만 더 떨어지기 전에 손절하자”는 판단에 따라 매도를 하게 됩니다.
✅ 매도의 방식:
- 시장가 매도: 현재 사고자 하는 사람 중 가장 비싼 가격에 즉시 팔기
- 지정가 매도: 내가 원하는 가격에 도달했을 때만 팔기
✅ 매도 타이밍 팁:
- 수익을 지킬 때도, 손절할 때도 매도 전략은 매우 중요
-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, 계획적으로 매도 시점을 설정하는 습관이 필요
정리: 주식 기초 용어 다섯 가지 한눈에 보기
상한가 | 하루 최대 상승폭 (30%) | 너무 인기가 많아서 더 이상 못 오름 |
하한가 | 하루 최대 하락폭 (30%) | 투자자들이 다 팔고 싶어서 더 이상 못 떨어짐 |
호가 | 사고팔고 싶은 가격 표시 | 주식 앱에서 보이는 ‘가격표’ |
매수 | 주식을 사는 것 | 사고 싶어서 클릭! |
매도 | 주식을 파는 것 | 이제 팔고 나가자! |
마무리: 주식 용어는 알면 알수록 쉽다!
처음에는 어려웠던 상한가, 하한가, 호가, 매수, 매도 같은 단어들도
이렇게 예시와 함께 풀어서 이해하면 쉽게 머릿속에 들어오죠?
주식 투자를 할수록 기초 용어의 중요성은 더 커져요.
기본이 탄탄해야 시장 흐름을 빠르게 읽을 수 있고,
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, 위기에도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.
'주식.경제.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뱅크런이란? 쉽게 풀어보는 은행 위기의 시작 (0) | 2025.04.05 |
---|---|
명목금리란? 예시와 함께 쉽게 배우는 경제 용어 (0) | 2025.04.04 |
직접세와 간접세 차이점, 예시, 특징까지 한눈에 정리! (0) | 2025.04.03 |
낙수효과란? 부자에게 혜택을 주면 가난한 사람도 잘 살게 될까? (2) | 2025.04.02 |
디커플링(Decoupling)이란? 주식과 경제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 (0) | 2025.04.02 |